근로계약서와 세금, 4대 보험 완벽 정리!
첫 직장에서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? 또한 월급에서 빠지는 세금과 4대 보험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이니 꼼꼼히 확인하세요!
1. 근로계약서 작성 시 반드시 확인할 사항
근로계약서는 근무 조건과 권리를 보장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. 계약서 작성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✅ 근로계약서 필수 기재사항
- 근무기간: 정규직인지 계약직인지 여부와 계약 기간
- 근무장소: 근무지가 명확히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
- 근무시간: 주 40시간 근무 기준 및 연장·야근 수당 포함 여부
- 임금: 기본급, 수당, 성과급, 상여금 등 급여 항목 확인
- 임금 지급일: 월급이 지급되는 날짜 확인
- 수습기간 여부: 수습 기간이 있을 경우 급여 감액 여부 확인
- 퇴직금: 1년 이상 근속 시 퇴직금 지급 여부 확인
⚠️ 근로계약서 작성 시 주의할 점
✔️ 구두 계약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서면 계약서를 받아야 합니다.
✔️ 연봉에 포함된 ‘포괄임금제’ 여부를 확인하여 추가 근무 수당 지급 여부를 체크하세요.
✔️ 근로계약서와 실제 근무 조건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2. 대한민국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
월급에서 자동으로 원천징수되는 세금은 크게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있습니다.
세금 항목비율계산 기준
소득세 | 약 3~8% | 근로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 |
지방소득세 | 소득세의 10% | 소득세 × 10% |
📌 예시) 월급 300만 원일 경우
✔️ 소득세: 약 5만 원
✔️ 지방소득세: 약 5천 원
3. 4대 보험의 필요성과 월급에서 공제되는 비율
4대 보험은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하며, 급여에서 일정 금액이 자동으로 공제됩니다.
보험 종류 | 개인 부담률 | 회사 부담률 |
국민연금 | 4.5% | 4.5% |
건강보험 | 3.545% | 3.545% |
장기요양보험 | 0.485% | 0.485% |
고용보험 | 0.9% | 0.9~1.65% |
산재보험 | 없음 | 0.7~18.6% |
📌 예시) 월급 300만 원일 경우
✔️ 국민연금: 13.5만 원
✔️ 건강보험: 10.6만 원
✔️ 장기요양보험: 1.4만 원
✔️ 고용보험: 2.7만 원
👉 총 약 28.2만 원이 공제됨
✅ 4대 보험의 필요성
✔️ 국민연금: 노후 대비 연금으로 활용됨
✔️ 건강보험: 의료비 부담 경감
✔️ 고용보험: 실업급여 및 재취업 지원
✔️ 산재보험: 업무 중 사고 시 보상
4. 소득세 계산 방법
소득세는 근로소득에서 공제항목을 제외한 후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.
🔹 소득세 간단 계산 공식
- 과세표준 계산 = (총 급여 - 근로소득공제)
- 세율 적용 =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적용
- 공제 차감 = 산출세액에서 각종 세액공제 차감
✔️ 월급 300만 원 기준 예상 소득세
- 연봉 3,600만 원 → 과세표준 적용(6%)
- 예상 소득세 약 60만 원 (월 기준 약 5만 원)
✅ 마무리
✔️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하며, 임금, 근로시간, 수습 기간을 확인해야 합니다.
✔️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은 **소득세(3~8%)와 지방소득세(소득세의 10%)**입니다.
✔️ 4대 보험은 총 급여의 약 9%가 공제되며, 회사도 같은 비율로 부담합니다.
✔️ 소득세는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한 후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.
💡 첫 직장에서 급여 명세서를 꼭 확인하고, 예상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보세요!
✔️ 급여계산기 검색해서 계산해보실수 있어요^^
'생활속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별새꽃돌 과학관 소개 (0) | 2025.04.23 |
---|---|
AI로 나만의 노래 만들기: Suno 앱 완전 정복 (1) | 2025.04.22 |
ISA vs IRP: 똑똑한 재테크를 위한 완벽 비교 가이드 (0) | 2025.03.17 |
학원비 할인 체크카드의 종류 (0) | 2025.02.27 |
학원비할인 신용카드 정리 비교 (0) | 2025.02.27 |